수북정원

스테이블 코인 본문

카테고리 없음

스테이블 코인

subook 2025. 6. 27. 18:16

스테이블 코인(Stablecoin)은 가치가 안정적인 암호화폐로, 일반적으로 법정화폐(예: 달러, 유로) 또는 금과 같은 자산에 연동되어 있습니다. 이름 그대로 "stable" — 즉, 가격 변동성이 거의 없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입니다.


🌕 1. 스테이블 코인이란?

스테이블 코인은 크게 세 종류로 나뉩니다:

① 법정화폐 담보형

대표: USDT (테더), USDC (USD 코인), BUSD (바이낸스 USD)

실제 달러(1:1)나 기타 자산을 은행에 예치해 두고 그만큼의 코인을 발행.

1 USDT ≈ 1 USD로 유지됨.


② 암호자산 담보형

대표: DAI (MakerDAO)

다른 암호화폐(예: 이더리움)를 담보로 맡기고 발행.

담보가치가 떨어질 경우 청산되기도 함.


③ 알고리즘 기반 (비담보형)

대표: 과거의 UST (테라 루나) — 실패 사례.

수요/공급을 조절하는 알고리즘으로 가격을 유지하려 했지만, 안정성에 실패함.



---

📦 2. 스테이블 코인 보유 방법

① 거래소에서 구매

업비트, 빗썸, 코인원 등 국내 거래소에서는 USDT 등 일부만 지원.

바이낸스, 쿠코인 등 글로벌 거래소에서는 다양한 스테이블코인을 구매 가능.


② 지갑에 보관

거래소 지갑 (중앙화)

개인 지갑 (탈중앙화):

메타마스크, 트러스트 월렛, 레저(하드웨어 지갑) 등


주의: 개인 지갑에서는 복구키(시드 문구)를 안전하게 보관해야 함.



---

🔁 3. 사용 방법

① 암호화폐 투자자산 간 가치 이동

비트코인 가격이 크게 하락할 것 같을 때, USDT 등으로 바꿔 가치 보존.


② 결제 수단

일부 국가(특히 남미, 아프리카 등)에서는 법정화폐보다 스테이블코인으로 직접 결제.

온라인 서비스 결제나 상품 구매에도 사용 가능 (한정적).


③ 디파이(DeFi) 플랫폼 활용

DAI, USDC 등으로 이자 수익을 얻을 수 있음.

예: Aave, Compound 등에 예치 → 연 2~10% 수익 가능


④ 송금

은행 없이도 글로벌 송금 가능.

예: USDT를 한국에서 미국으로 보내면 몇 분 내 송금 완료, 수수료 저렴.



---

⚠️ 주의할 점

중앙화된 스테이블 코인은 발행사(예: 테더사)의 투명성, 회계 감사가 불완전하다는 비판이 있음.

디페깅 위험: 가치가 1달러보다 내려가는 현상.

예: UST 폭락 사태처럼, 일부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 코인은 붕괴 가능성 있음.



---

✍️ 정리

항목 내용

목적 법정화폐처럼 안정적인 가치를 가진 암호화폐
대표 코인 USDT, USDC, DAI
보유 방법 거래소 구매 → 개인 지갑 전송
사용 방법 투자 가치 보존, 결제, 송금, 디파이 활용
리스크 발행사 신뢰, 디페깅, 규제 가능성 등